유기자차 무기자차 구분 내 피부에 맞는 선크림 알고 바르자
이번 포스팅에서는 유기자차 무기자차 선크림 구분에 대해 알아보려 합니다.
자외선차단제 종류가 크게 유기자차, 무기자차 이 두 가지로 나뉜다고 들어본 적 있으실 텐데요. 이 두 자차는 성분 차이가 있으므로 이에 대해 자세히 알고 사용하면 내 피부를 보다 건강하게 유지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선크림을 바르면 피부 트러블이 생겨 자외선차단제 사용을 꺼리시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데요, 이는 우리 피부에 맞지 않는 자외선 차단제를 발랐기 때문입니다.
저 또한 앞서 말한 문제로 인해 선크림 사용을 하지 않았었는데요, 유기자차와 무기자차 차이에 대해 알고 난 이후 현재는 제 피부에 맞는 선크림을 찾아 매일 잘 바르고 있습니다.
그럼 유기자차 무기자차 차이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할까요?
목차
유기자차 무기자차 차이
우리 피부 노화의 주범인 자외선은 유리창도 통과하기 때문에 실내에 있을 때도 햇빛이 들어오는 공간이라면 자외선 차단제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특히, 4계절 중 자외선이 제일 강한 여름철에는 빼먹지 않고 사용해야 하는 필수 화장품이기도 하죠.
이 자외선 차단제는 크게 유기자차와 무기자차로 나뉘는데 구성 성분의 차이가 있습니다. 말그대로 유기자차는 유기화합물 계열로 자외선을 차단하며, 무기자차는 무기화합물 계열로 자외선을 차단하는 걸 말해요.
무기자차는 물리적 자외선 차단제로 자외선을 반사시켜 피부를 보호합니다. 피부에 일종의 투명 막을 씌우는 느낌이라고 생각하면 되죠.
반면, 유기자차는 화학적 자외선 차단제로 자외선을 흡수해 소멸시키는 걸 말하며, 피부에 닿은 자외선 에너지가 화장품 속 화학성분과 반응을 일으켜 적외선으로 내보내는 역할을 합니다.
더 쉽게 말하면 자외선을 반사시켜 피부 밖으로 튕겨내느냐, 자외선을 피부 속으로 들여보내주느냐의 차이가 있습니다.
유기자차 무기자차 장단점
이번엔 유기자차와 무기자차 장단점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일반적으로 유분과 열감이 많은 지성 피부에는 유기자차, 건성 피부에는 무기자차가 적합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트러블 민감성 피부의 경우엔 자극이 적은 무기자차가 적합하고 말이죠.
유기자차의 대표적인 성분으로는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 호모살레이트를 꼽는데요. 발림성이 좋아 백탁현상이 없으며, 흡수가 빨라 산뜻한 느낌을 줍니다.
다만, 화학성분들이 자외선을 흡수해 적외선으로 분해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물질로 인해 눈시림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화학성분을 다량 사용해 무기자차보단 피부 안전성이 낮은 편이라 민감하고 여린 피부에 사용했을 시 자극이 되어 피부 트러블이 유발될 수 있습니다.
또 유기자차 성분 중 옥시벤존과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는 내분비계를 손상시켜 산호초의 백화현상을 초래하는 것으로 알려져 인체 유해성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어 사용 농도를 제한하고 있습니다.
무기자차의 자외선 차단 효과를 가지고 있는 성분은 티타늄디옥사이드와 징크옥사이드 이 두 가지인데요.
무기자차는 UVA(자외선A), UVB(자외선 B)를 동시에 차단하고 피부자극이 적어 아이들 얼굴에 발라도 되는 안전한 선크림입니다. 자외선 차단 범위가 비교적 넓은 편이며, 눈 시림 현상이 적고 시간이 지나도 자외선 차단 효과가 크게 떨어지지 않는 장점이 있죠.
하지만 무기자차는 얼굴이 하얗게 뜨는 백탁 현상이 있으며, 많은 양을 바르면 얼굴이 끈적일 수 있고 메이크업 시 충분히 흡수시키지 않으면 화장이 밀릴 수 있습니다.
최근에는 이 두 가지 입자 크기를 100nm 정도의 나노 입자 크기로 줄여 백탁 현상을 줄이고 발림성 효과를 높였다고 하지만 이는 피부에 스며들어 자외선 효과가 떨어지고 피부세포의 유전자를 공격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고 합니다.
마무리
초입부에서도 말했듯 저는 선크림을 바르면 피부 트러블이 생기거나 피부 화장이 들뜨는 느낌이라 비교적 최근까지 선크림 단계는 건너뛰었는데, 시간이 지날수록 잡티가 많이 올라오는 걸 느꼈습니다. 메이크업 화장품 속 기본 자외선 차단은 그렇게 큰 효과가 없나 봐요 ㅠ
이대로는 안되겠다 싶어 이런저런 관련 정보를 검색해 보다가 유기자차 무기자차 성분 차이에 대해 관심을 가지게 되었는데요.
그러다 저처럼 예민성 피부를 지닌 사람들을 위해 유해 성분들은 제거하고 대체할 만한 성분들을 함유한 자외선 차단제가 생각보다 많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저와 같은 분들은 구매 시 성분을 물론이고 민감성 피부 자극 인체 적용 시험 결과 지수 확인을 고려해 보시는 것도 한 가지 방법인 것 같아요.
그리고 최근에는 무기자차와 유기자차의 장점 만을 합친 혼합자차 선크림이 출시되고 있다고 해요. 무기자차의 백탁현상과 뻑뻑한 발림성을 최대한 줄이고 유기자차의 눈시림 현상이나 피부 자극을 최대한 줄인 성분들로 구성해서 말이죠. 이 점도 함께 참고해 보시면 좋겠습니다.
오늘은 무기자차 유기자차 선크림 차이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혹시나 선크림 성분으로 인한 부작용이나 불편함을 겪고 계셨던 분들에게 유용한 정보가 되었길 바라며 이만 마치겠습니다. 다음에 또 유용한 정보 들고 올게요 :)
'패션 & 뷰티 > 화장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기 화장품 종근당건강 스템벨, 2023 올해의 브랜드 대상 수상 (0) | 2023.09.14 |
---|---|
민감성 피부 수분크림 추천 5가지 (0) | 2022.10.04 |
남자 여드름 지성피부 수분크림 추천 6가지 (1) | 2022.09.28 |
남자 파운데이션 호수 종류와 찾는 법 알아보기 (0) | 2022.04.12 |
클렌징 폼 추천 순위: 세정력, 저자극, 여드름 고려 (0) | 2022.03.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