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 건강에 관심을 갖는 사람이 증가하며 루테인에 대한 관심도 증가했습니다. 그러나 무분별한 광고로 인해 루테인을 눈 건강 특효약으로 생각하는 경우도 있는데요. 하지만 루테인을 눈 건강의 특효약처럼 생각하는 것은 분명 잘 못된 인식입니다. 눈에 도움이 되는 것은 맞으나 자칫 잘 못 먹을 시 부작용이 생길 수도 있습니다. 오늘은 루테인 효능과 함께 루테인 부작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루테인 효능은?
루테인은 눈의 황반과 수정체 그리고 뇌, 피부, 심장, 척추 조직에 집중되어 있는 성분으로 카로티노이드 중 잔토필(xanthophylls)의 한 종류입니다. 우리 몸에는 600가지가 넘는 다양한 종류의 카로티노이드가 있지만 우리 눈의 황반에는 단 2종류만이 집중되어 있는데, 제아잔틴과 바로 루테인입니다.
루테인은 블루 라이트라고 알려진 청색광을 흡수하여 눈을 보호하고 수정체와 황반 등의 변성을 막는 데 도움을 주는데요. 자외선에 노출되면 황반과 수정체 주변에 변성을 유발하는 활성 산소가 쌓이는데, 이 활성 산소를 제거하는 주요 물질 중 하나가 루테인입니다. 특히 노화로 인해 감소될 수 있는 황반색소 밀도를 유지하여 황반변성 진행을 억제시키는 데 효과가 있다는 것이 증명되었습니다.
루테인은 왜 필요한 것인가?
사람은 약 25세가 되면 루테인이 줄어들기 시작합니다. 흡연자라면 비흡연자에 비해서 2배 이상의 속도로 급격하게 줄어든다고 합니다. 그리고 노년기에는 우리 몸에 루테인이 부족해지며, 60세가 되면 절반 이하로 감소한다고 합니다.
만약 루테인이 부족하면 사물을 구분하는 능력이 떨어져, 심할 경우 황반변성이 진행될 수 있는데요. 황반변성이란 눈 조직 중 황반에 발생하는 변성으로, 시력 저하를 유발하는 퇴행성 질환입니다. 보고자 하는 부분이 어둡거나 왜곡되어 보일 수 있으며 나이가 많아짐에 따라 가파른 증가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러한 루테인은 사람의 신체에서 합성되지 않으므로 음식을 통해 섭취해야 하는데요. 시금치, 브로콜리, 양배추, 옥수수, 호박, 계란 노른자 등에 많이 함유되어 있다고 합니다. 그런데 만약 평소 루테인이 함유되어 있는 채소나 계란을 자주 먹지 못 한다면, 영양제나 건강식품을 통해서라도 섭취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루테인 부작용은?
루테인의 효능은 분명하지만 특효약과 같은 개념은 아닙니다. 식약처 건강기능식품 원재료 설명으로는 '노화로 인한 황반색소 밀도 감소를 유지하여 눈 건강에 도움이 될 수 있다'라고만 언급하고 있는데요. 많은 광고 매체에서 말하는 녹내장, 시력 개선 등은 과대광고일 수 있습니다. 백내장의 진행 억제에도 효과가 있다 보고 되었지만, 그 정도가 미미하다고 합니다.
특히나 일일 권장량인 10mg 이상을 꾸준히 복용할 경우 되려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한 연구 결과에서는 60대 여성이 8년간 20mg 이상의 루테인을 지속적으로 복용한 결과 녹내장과 황반변성 결정체가 나타났습니다. 또한 폐에도 안 좋은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연구결과도 존재하는데, 일일 섭취량 이상으로 장기간 섭취할 시 폐암 발병 확률이 높아질 수 있다고 합니다.
루테인 효능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루테인은 분명 우리 몸에 꼭 필요한 성분입니다. 특히 블루 라이트에 노출되기 쉬운 현대인은 줄어드는 속도가 더 빠를 수 있기에 음식으로 먹기 어려운 경우 영양제를 통해서라도 섭취하는 것이 좋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무분별한 과다 복용은 우리 몸에 해로울 수 있으니 반드시 일일 권장량을 지켜 섭취하시기 바랍니다.
'건강 & 다이어트 > 건강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밀크씨슬 효능과 부작용 총정리 (0) | 2022.01.26 |
---|---|
수면유도제 수면제 차이 정확히 알고 먹기 (0) | 2022.01.21 |
콜라겐 효능과 콜라겐이 많은 음식은? (0) | 2022.01.01 |
신장이 안 좋으면 나타나는 증상, 제대로 알아야 합니다 (0) | 2021.12.26 |
귀가 먹먹할때, 갑자기 먹먹해요 치료법은? (0) | 2021.1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