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자기 귀가 먹먹할때, 자가 치료법 알아보기
갑자기 귀가 먹먹할때 우리는 당황스러움을 느낄 수 있습니다. 비행기를 타거나 차량으로 산을 이동할 때와 같이 갑자기 기압이 변할 때 우리의 귀는 먹먹해지곤 합니다.
바로 이렇게 귀가 먹먹한 느낌을 이충만감이라고 합니다. 다양한 원인에 의해 이런 증상이 발생할 수 있는데, 외이도(바깥귀길)가 염증으로 인해 붓는 경우와 중이(가운데귀)에 염증으로 인한 진물이 차는 중이염에서도 이충만감을 느끼게 됩니다. 만약 이럴 경우엔 바로 병원에 들리셔야 합니다.
이관의 기능장애가 생기는 경우에도 이충만감은 생기게 됩니다. 여기서 이관이란 귀인두관 또는 유스타키오관이라고 불리며, 코의 뒤쪽 부분인 비인강과 중이를 연결하고 있는 관을 말합니다.
이관은 평상시에는 닫혀 있다가, 우리가 침을 삼키거나 하품을 할 때 열려 중이의 압력이 대기압과 같도록 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이관은 상황에 맞게 닫힘과 열림이 조절되어야 하는데, 이 것이 조절되지 않을 경우 이충만감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이관이 조절되지 않아 귀가 먹먹해지는 증상이 생겼을 경우 간단한 얼굴 운동을 통해 압력을 낮춰 해결해 볼 수 있습니다.
바로 이럴 때 활용할 수 있는, 귀가 먹먹할때 활용하면 좋은 치료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다른 누군가가 귀가 먹먹해요라고 말한다면 이 방법을 알려주어 증상을 해결해보시길 바랍니다.
귀가 먹먹할때 치료법
입을 약간 벌리고 하품하기
대표적으로 많이 활용하고 있는 방법입니다. 입을 벌려 "아" 소리를 내며 하품을 하려고 노력합니다. 하품이 나올 때까지 입을 천천히 벌려줍니다. 먹먹한 귀가 뚫리는 것 같을 때 멈추며, 처음 하품을 해서 효과가 없다면 계속 반복해 줍니다. 압력이 균형을 되찾는 것이 느껴지면 귀가 뚫리는 느낌이 들며 소리가 잘 들리기 시작합니다.
껌씹기
하품하는 것이 효과가 없다면 껌을 씹어 줍니다. 껌이 없다면 껌을 씹는 것 같은 행동을 취해줍니다. 이때 껌보다 더 큰것을 씹듯 과정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씹는 동작은 귀의 안과 밖의 압력 균형을 잡아주고, 먹먹해지는 증상을 미리 예방할 수도 있습니다.
물 마시기
침 삼키기, 물 마시기 같은 원리로 바라보겠습니다. 이 방법만 실행하는 것이 아닌 다른 방법과 같이 병행하는 것이 더욱 좋습니다. 물을 한잔 마시고 유스타키오관이 자리를 잡도록 머리를 기울입니다. 물을 꿀꺽 삼켜 귓속 압력의 균형을 회복하는 방법입니다.
사탕 혹은 목캔디 먹기
사탕이나 목캔디, 혹은 민트 등을 빨아먹으면 귓속 압력이 균형을 찾을 수 있습니다. 씹어 먹는 것이 아닌 빨아 먹는 듯한 느낌으로 드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머리를 뒤로 젖히고 턱을 앞으로 내밀기
하늘을 바라보면 유스타키오관이 제자리에 돌아오게 됩니다. 턱을 앞으로 내밀면 하품이 나오는 데도 도움이 되어 유스타키오관을 열 수 있고 압력을 낮출 수 있습니다.
귀에 물이 들어간 경우
귀에 물이 들어갔을 때도 귀가 먹먹해집니다. 이럴 땐 조심스럽게 압력을 가해 물을 빼주어야 합니다. 바닥과 귀가 평행이 되게 허리를 굽히고 손가락으로 귀를 막았다 떼었다 반복하며 귀가 막힌 증상이 가시거나, 들어간 물이 흘러 나오도록 해야 합니다. 중요한 점은 절대 손가락으로 귀를 후비지 않는 것입니다. 물을 빼내는 것이 아닌 압력을 바꾸어 주는 것이 포인트입니다.
발살바법 사용하기
발사바법은 살살 숨을 내쉬어 유스타키오관에 반대로 압력을 가하는 것입니다. 코를 잡고 입을 다물고 코로 살살 숨을 내쉬어 줍니다. 이렇게 하면 귀가 열리면서 압력의 균형을 찾을 수 있습니다.
- 숨은 되도록 살살 내쉬어 줍니다. 힘을 주면 안 됩니다. 자칫 유스타키오관에 자극이 가 염증이 생기면 귀가 먹먹한 증상을 없애기 더욱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 몸을 굽히면 도움이 됩니다. 발끝에 손이 닿게 스트레칭을 하듯 몸을 굽히고 발살바법을 한 다음 코에서 손을 떼 심호흡을 해줍니다. 몸을 굽힌 후 이 두 가지를 계속 번갈아 하면 좋습니다.
'귀가 먹먹해요' 라는 말은 살아오면서 한 두번은 들으실 수도 그리고 하실 수도 있는 말압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즉각 활용할 수 있는 치료법을 알고 있다면 많은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그런데 이는 압력차로 인해 귀가 먹먹할때 사용할 방법이며, 염증으로 인한 증상의 경우 시급히 병원에 가보아 진단을 받아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갑작스러운 귀 먹먹함, 어지러움증 등이 나타난다면 가까운 병원에 방문해보시길 바랍니다.
'건강 & 다이어트 > 건강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밀크씨슬 효능과 부작용 총정리 (0) | 2022.01.26 |
---|---|
수면유도제 수면제 차이 정확히 알고 먹기 (0) | 2022.01.21 |
루테인 효능과 부작용, 알고 먹어야 눈을 지킨다 (0) | 2022.01.02 |
콜라겐 효능과 콜라겐이 많은 음식은? (0) | 2022.01.01 |
신장이 안 좋으면 나타나는 증상, 제대로 알아야 합니다 (0) | 2021.12.26 |